본문 바로가기
전자담배/팁

전자담배 리빌드 팁입니다.

by 그루브즈 2016. 1. 13.

어딘가에서 찾은 자료가 아닌 개인적인 생각의 팁을 적어 봅니다.

잘못된 생각이라면 거침없는 댓글 부탁드립니다.


저도 초보수준이긴 하지만 시작하시는 분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적어 봅니다.


대부분의 리빌더블 기기들은 아래와 같은 수평 구조와 수직 구조를 가집니다

파란 화살표는 액상 유입방향이고 빨간 원은 코일이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높은 열이 발생되는 구간입니다


수평 리빌드는 액상 유입의 방향과 열이 생성되는 구간의 방향이 반대 입니다




아래는 기성코일로 판배되는 수직코일 구조입니다.

액상이 유입되는 방향과 열이 생성되는 구간의 방향이 동일합니다.



그래서 요즘 기성코일 코일들은 이런 구조로 많이들 출시하며

이 구조는 더 많은 와트로 더 많은 열을 내도 수평코일 방식보다 코일이나 솜이 탈 확율이 적습니다.


하지만 본 글은 수평코일 리빌드의 도움을 드리고자 이글을 적습니다.

아래 파란 화살표 구간은 1번구간, 빨간 화살표의 구간은 2번 구간이라고 하겠습니다.




수평리빌드의 경우 위에 언급했듯이 액상이 유입되기 가장 힘든 구간부터 열이 발생하여 기화를 시작합니다.

그리고 코일속에 솜은 살짝 코일에 눌려서 기화되면서 바로바로 액상이 유입되지 않고 약간의 텀이 필요합니다.


2번구간에 틈이 하나도 없는 마이크로 코일로 1번구간이 길때의 장점은 제 생각엔 없습니다.


하지만 2번구간을 간격을 살짝 두는 스페이싱 코일의 경우 어쩔수 없이 1번 구간이 길어질수 밖에 없지만 

2번 구간의 공간때문에 각 코일의 면적당 기화할 액상의 양이 많아 장타에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1번 구간이 긴만큼 연타에는 그다지 좋진 않다고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1번 구간의 길이가 길지 않은 마이크로 코일로 6~8바퀴 정도가 가장 적합하다는 생각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요즘 유행인 온도조절보다는 칸탈와이어로 와트모드 혹은 아솔로의 칸탈 맛조절기능이 더 좋은거 같습니다...


그리고 온도조절을 사용할 경우 정확한 저항 측정을 위하여 스페이싱 코일 리빌드를 하게될텐데요... 개인적으론 ni200과 ta1과 ss316 3가지의 28게이지를 사용해 봣을때 ni200은 저항이 너무 낮아서 10바퀴이상 감아주다보니 1번 구간이 너무 길어져서 전 별로인거 같고 ss316은 지원하지 않은 기기도 많고 온도에따른 저항 변화가 적어서 오차도 많이 발생하는거 같아서 저항도 어느정도 되고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도 적당한 ta1으로 스페이싱 5~6바퀴정도가 가장 적당한것 같습니다.


그리고 리빌드에 따른 적당한 와트의 계산은 

http://www.steam-engine.org/coil.asp?r=1.2&dia=0.32

위 링크로 들어가셔서 와이어의 종류와 저항 내경 을 입력하시고 우측의 Heat flux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을 통하여 이동한 열에너지의 양) 이 무화기에 따라 200~400사이 정도 나오는 와트를 사용하는것이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됩니다.

전 탱크형 무화기들에선 보통 250 ~ 300, 드리퍼에선 300~400 정도 Heat flux 을 추천합니다.